프로그래밍 언어 활용
1. 기본 문법 활용
2. 언어 특성 활용
1. 기본 문법 활용
1) 프로그래밍을 위한 대표적인 용어
번호 |
용어 |
설명 |
||||
1 |
변수 |
어떤 값을 주기억 장치에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공간 |
||||
2 |
식별자 |
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구별하기 위한 기준 ex) 함수명, 변수명 ... |
||||
3 |
바인딩 |
변수와 변수에 관련된 속성을 연결하는 과정
|
||||
4 |
영역 |
선언한 변수가 사용되는 범위를 의미
|
||||
5 |
할당 |
변수에 메모리 공간을 바인딩 하는 작업 |
2) 자료구조의 개념
-> 컴퓨터에 데이터를 삽입, 삭제, 수정하게 해주는 논리적인 공간 구조를 의미
자료 형태에 따른 자료 구조 분류
번호 |
유형 |
설명 |
1 |
단순구조 |
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기본 데이터 타입 |
2 |
선형 구조 |
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자료 구조 |
3 |
비선형 구조 |
자료들 사이의 관계가 비순차적인 성질을 가진 자료 구조 |
4 |
파일 구조 |
보조 기억 장치에 데이터 값이 실제로 기록되는 자료 구조 |
3) 알고리즘의 개념
-> 알고리즘이란 어떤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해법을 의미.
알고리즘의 특성
- 입력
- 출력
- 명확성
- 유한성
- 유효성
번호 |
유형 |
설명 |
1 |
입력 |
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자료가 0개 이상 |
2 |
출력 |
출력되는 결과가 1개 이상 |
3 |
명확성 |
명령어의 의미가 명확 |
4 |
유한성 |
정해진 단계를 지나면 반드시 종료 |
5 |
유효성 |
모든 명령은 실행이 가능한 연산 |
4) 연산자의 개념
-> 연산자란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연산을 표현하는 기호이다.
연산자의 종류
- 산술 연산자
- 시프트 연산자
- 관계 연산자
- 논리 연산자
- 비트 연산자
- 대입 연산자
- 증감 연산자
- 산술 연산자
-> +, -, *, /, % 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산자.
( %(모듈러)연산자는 오른쪽 값에서 왼쪽값을 나눈 나머지를 Return 한다.)
- 시프트 연산자
연산자 |
내용 |
>> |
왼쪽 값을 오른쪽 값만큼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 |
<< |
왼쪽 값을 오른쪽 값만큼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 |
ex)
int a = (3 << 4);
일반적으로 정수를 2진수로 바꾼다.
3은 2진수로 11(2) 이고 0b11로 표기한다.
이제 0b11를 왼쪽으로 4비트만큼 이동하면
0b11000가 된다.
이를 다시 10진수로 표현하면 24이다.
따라서 a는 24다.
- 관계 연산자
( != 연산자는 같지 않다를 의미한다.)
- 논리 연산자
연산자 |
내용 |
&& |
두 개의 논리 값이 모두 참일때만 참을 반환 |
|| |
두 개의 논리 값 중 1개만 참이면 참을 반환 |
- 비트 연산자
-> 0, 1의 각 자리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0 또는 1의 결과값을 갖는 연산자이다.
연산자 |
내용 |
& |
두 값을 비트로 연산하여 모두 참일때만 참을 반환, 나머지는 거짓 |
| |
두 값을 비트로 연산하여 하나만 참이여도 참을 반환 |
^ |
서로 다르면 참, 같으면 거짓을 반환 |
쉽게 말하면
& : AND
| : OR
^ : XOR
- 대입 연산자
- 증감 연산자
-> 피연산자를 1씩 증가 혹은 1씩 감소 할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.
예를 통해서 배워보자.
int a = 100;
printf("%d\n", a++);
printf("%d\n", a);
printf("%d\n", ++a);
printf("%d\n", a--);
printf("%d\n", a);
printf("%d\n", --a);
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다.
100
101
102
102
101
100
++a와 --a 는 연산자 사용 후에 그 값이 적용 된다.
쉽게 생각하면 증감을 예약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.
++a는 바로 호출하면 a에 1을 증가하지 않고, 그다음 명령문 부터 1 증가가 적용된다.
5) 기타
- 열거체
-> 열거체란 서로 연관된 정수형 상수들의 집합이다.
-> 정수형 상수에 이름을 붙여서 코드를 이해하기 쉽게 한다.
-> 멤버변수에 초기값을 설정하지 않으면 default 값으로 0부터 시작된다.
enum leave_work
{
mon,
tue,
wed,
thr,
fri,
sat,
sun
};
mon ~ sun 까지 0부터 6까지 차례대로 대입된다.
- 공용체
union leave_work2
{
char sex;
int age;
short id;
};
leave_work2 공용체의 메모리 크기는 4바이트(int의 크기) 이다.
- 추상화
종류 |
설명 |
기능 추상화 |
입력 자료를 출력자료로 변환하는 과정을 추상화 |
자료 추상화 |
자료와 자료에 적용할 수 있는 연산을 함께 추상화 |
제어 추상화 |
외부 이벤트에 대한 반응을 추상화 |
- 상속
- 구체화
'0 + Study > 0 + 정보처리기사(실기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처리기사 실기]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#2 (데이터베이스 기초 활용) (0) | 2020.10.20 |
---|---|
[정보처리기사 실기]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#1 (운영체제(OS)의 특징) (0) | 2020.10.09 |
[정보처리기사 실기] 프로그래밍 언어#2 (0) | 2020.10.04 |
[정보처리기사 실기]서버 프로그램 구현#2 (2) | 2020.09.26 |
[정보처리기사 실기]서버 프로그램 구현#1 (0) | 2020.09.23 |